이차방정식 두 근의 거리
근의 공식을 활용하는 방법!
이므로!
두 근중 작은 근을 , 큰 근을
라 하면
,
두 근의 거리는 이므로
두 근의 거리 =
암기하기 쉽게 바꾸면
이차방정식과 그래프 문제를 풀 때 종종 유용하다!
그런데...
는 양수인데!(음수이면 두 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거리도 없다)
가 음수이면??
거리가 음수라니?!!
그렇다고
라고 하면 되긴 하는데, 왜 절댓값이 등장해야 하지??
이유는 ,
의 선정에서 있었다.
가 음수일 때는
,
가 된다.
결론!
두 근 사이의 거리는 항상
참고로, 적분에서 이차함수와 축 넓이 구하는 공식에서도 써먹을 수 있네!
>>이차함수의 넓이공식 보러가기<<
'고등 1년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와의 관계 - 안성환쌤의 연역적수학 (0) | 2015.05.29 |
---|---|
이차방정식 근의 공식 - 안성환쌤의 연역적수학 (0) | 2015.05.29 |
일대일함수 일대일대응 정의, 구별 - 설공아빠 (0) | 2015.05.29 |
함수의 갯수 - 안성환쌤의 연역적수학 (0) | 2015.05.29 |
절대부등식 기초공식 - 안성환쌤의 연역적수학 (0) | 2015.05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