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5. 5. 29. 16:45
함수의 극값 = 極값 = 영어:local extremum (최댓값은 global maximum)
특정 지점의 함수값이 주변의 함수값과 비교했을 때 가장 크거나 가장 작은 경우
미분해서 0되는 점이 아니다.
도함수가 양수에서 음수로 변하는 순간이다.
어떤 함수의 도함수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를 생각해보자.
<그림오류> 는 검은점이 아니라 하얀점!이다~
에서는
도함수가 양수에서 음수로 변했다.
증가하다가 감소한다.
따라서 극댓값이다.
한편 에서는 어떤가?
를 경계로
도함수는 음수였다가 양수이다.
따라서 감소하다가 (뾰족하게) 증가한다.
쌤!
연속이여야 하는거 아닌가요?
함수가 연속이라고 도함수도 연속인 것은 아니다!
즉, 뾰족점, 첨점은 극값일 수 있다.
점A는 극값(극솟값)이지만 점B는 뾰족점(첨점)일 뿐 극값은 아니다~
이 부분을 모르고 시험문제내고 채점하는 학교쌤들도 봤다ㅠㅠ
'미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삼각함수의 합성 - 안성환쌤의 연역적수학 (0) | 2015.05.29 |
---|---|
미분계수에서 도함수까지의 이해 - 안성환쌤의 연역적수학 (0) | 2015.05.29 |
무리함수 미분, 루트함수 미분- 안성환쌤의 연역적수학분 (2) | 2015.05.29 |
수열의 극한-참거짓, 정오판정,합답형 풀이요령 - 안성환쌤의 연역적수학 (0) | 2015.05.29 |
로피탈의 정리 증명 - 안성환쌤의 연역적수학 (0) | 2015.05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