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osted by 정감T 2015. 5. 29. 16:47

1. 축의 둘레로 회전시킨 회전체의 부피


   






2. 축의 둘레로 회전시킨 회전체의 부피


   









단면적의 넓이를 적분하면 부피가 나오는 것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!



즉, 이것이 이해가 안가거나 외워지지 않는다는 것은


<입체의 부피>------------보러가기


부터 확실히 이해해야 한다~




posted by 정감T 2015. 5. 29. 16:38

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와의 관계



모든 이차방정식은 (는 실수,     ->이면 이차방정식이 아니니까


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라 하고


근을 중심으로 방정식을 다시 쓰면





자, 여기에서 두 식은 같다는 것을 인정해라!


즉, 다음과 같은 식이 가능하다.




는 0이 아니니까~ 양변을 나눠주고~


계수비교를 통해 정리해주면~



암기해야만 한다만, 자꾸 식에서 만들어도 보시길!


까먹어도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한다.

posted by 정감T 2015. 5. 29. 15:22

이차방정식 근의 공식




는 몇인가?




너무 쉽네~




조금 더 어렵게,




미지수의 차수가 1인 방정식을 일차방정식이라 한다.


그렇다면 모든 일차방정식을 한번에 풀어주는 공식을 만들어 볼까?


이 모든 일차방정식이다.


우변에 숫자가 있으면 이항해서 합쳐주면 된다. 가 좌변, 우변에 있어도 이항해서 정리할 수 있다!



이 경우에 는 몇인가?



간단하다!


이것이 일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이다.


그렇다면~


이제 2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을 만들어 보자.


일단 모든 이차방정식의 기준형태를 잡자.


모든 이차방정식은 위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.

여기에서 중요한 것은!

, , 는 모두 상수이다.



이제부터~~풀어보자.


 

 



한편 가 짝수일 때는 조금 더 약분이 가능하다.


가 짝수이므로 라 하면




사실 분모분자를 2로 약분한 것일 뿐이다.


몰라도 문제푸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다.


단지 ‘아주 조금’ 더 빨리 푸는 공식일 뿐.

posted by 정감T 2015. 5. 29. 15:21

이차방정식 두 근의 거리



근의 공식을 활용하는 방법!

>>근의 공식 보러가기<<



이므로!


두 근중 작은 근을 , 큰 근을 라 하면


,


두 근의 거리는 이므로


두 근의 거리 =


암기하기 쉽게 바꾸면



이차방정식과 그래프 문제를 풀 때 종종 유용하다!





그런데...

는 양수인데!(음수이면 두 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거리도 없다)


가 음수이면??


거리가 음수라니?!!


그렇다고

라고 하면 되긴 하는데, 왜 절댓값이 등장해야 하지??




이유는 , 의 선정에서 있었다.


가 음수일 때는

, 가 된다.



결론!


두 근 사이의 거리는 항상






참고로, 적분에서 이차함수와 축 넓이 구하는 공식에서도 써먹을 수 있네!

>>이차함수의 넓이공식 보러가기<<

posted by 정감T 2015. 5. 29. 15:00

일대일함수, 일대일대응 쉽게 구별해서 외우기! 함수의 종류




우선 함수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.


(1) 일대일함수   : 


 

정의역의 서로 다른 원소를 공역의 서로 다른 원소로 대응시키는 함수이다.  

 

또는

 

함수 에서 정의역 의 임의의 두 원소 에 대하여 이면 가 성립할 때, 이 함수 일대일함수라고 한다.

 



(2) 일대일대응  :   

정의역의 임의의 한 원소에 공역의 원소가 단 하나만 대응하고 공역의 임의의 한 원소에도 정의역의 원소가 단 하나만 대응할 때 일대일대응이라 한다.

 

또는

 

일대일 함수 에서 치역과 공역이 같으면 이 함수 일대일대응이라고 한다.

 

특징

에 대하여 이면

 치역과 공역이 같다.



(3)항등함수  : 


 

함수 에서

 



(4)상수함수 :

 

함수 에서

 




일대함수보다 일대일대응이 더 까칠하다.(조건이 많다)



기본적으로 함수와 대응 중에서는 함수가 까칠하다.

일대일이 되면 오히려 대응이 까칠해진다.

합쳐서 한 번씩 까칠하다고 암기!ㅎㅎㅎ





일대일대응은 치역과 공역까지 같아야 한다.


두가지의 구별은 수능에는 잘 나오지 않는 개념이다.


어차피 일대일대응이 좀 더 중요하다.


왜?----->역함수가 존재하려면 일대일대응이여야 한다!




그런데...


우리는 일대일 대응을 판단하기 위해, 그저 증가/감소 함수로 판별할 뿐이다.


결국, 수능에는 미분이 중요하다....랄까.....



posted by 정감T 2015. 5. 29. 14:58

개정 수2) 함수의 개수


>>>>우선 일대일 대응과 일대일 함수 등 보러가기<<<<


집합 의 원소의 개수가 , 집합 의 원소의 개수가 일 때,

(1) 에서 로의 함수의 개수            (개)

(2) 에서 로의 일대일함수의 개수      (개)(단, )

(3) 에서 로의 일대일대응의 개수      (개)(단, )

(4) 에서 로의 상수함수의 개수         (개)



뭐이리 복잡하다냐!


사실, :순열과 :조합을 배워야 쉬운 부분인데,


고1때부터 모의고사에 출현하니까....




<<<<순열과 조합의 기초 보러가기>>>> 공사중



     X

1

2

3

     

     Y

1

2

3

4


(1) 에서 로의 함수의 개수는?


1이 대응할 수 있는 가짓수

2도 마찬가지다!

3도 그러하다!!


따라서





     X

1

2

3

4

     

     Y

1

2

3

 

(2) 에서 로의 일대일함수의 개수는?



.

.

.

-> 문제가 틀렸다!




일대일 함수가 되려면 공역이 정의역보다 같거나 많아야 한다!



문제 다시~



     X

1

2

3

     

     Y

1

2

3

4

(2) 에서 로의 일대일함수의 개수는?


1이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

2한테 남은 것은

3에게는 겨우

그래서





     X

1

2

3

     

     Y

1

2

3

4

(3) 에서 로의 일대일대응의 개수는?





.

.

.

또 틀렸다!


어떻게 해도 공역이 남아 버린다.


일대일대응은 공역도 남아선는 안된다. =  공역과 치역이 같아야 한다.



다시!

     X

1

2

3

4

     

     Y

1

2

3

 

(3) 에서 로의 일대일대응의 개수는?


1이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

2는

은 1...

는.....선택할 것이 없네....이미 다 커플.............T-T


일대일 대응은 완벽한 커플세계여야 한다.


쏠로부대는 용납지 않는.....


남녀 성비가 완벽한 세상에서 시작해야 한다!!!



다시!!


     X

1

2

3

4

     

     Y

1

2

3

4

(3) 에서 로의 일대일대응의 개수는?

1은

2는 ...


따라서




마지막!

     X

1

2

3

     

     Y

1

2

3

4

(4) 에서 로의 상수함수의 개수 는?

상수함수이므로..단 한 개의 치역만 허용한다.....(욕심쟁이같으니...)


따라서!

가지.(치역의 개수!)

posted by 정감T 2015. 5. 29. 14:56

절대부등식-안성환쌤의 연역적수학



절대부등식 기초 - 

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


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일 때,




          

이건...뭐....설명이 필요 없음.



이것이 모든 절대부등식의 기본!

실수의 제곱은 항상 보다 같거나 크다!


따라서 아래의 식도 성립하겠지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

절대값 벗기는 법!

제곱하면 똑같으니 벗길 수 있다.

한편, 라는 것도 생각 할 수 있겠다. 이걸 어디에 쓰냐~

우리는 앞에 음수를 싫어하니까~ 슬쩍 바꿔줄 수 있다.


이고, 이면 의 크기를 비교하시오.



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틀린다.


당연히 보다 클 때와 작을 때를 구별................해서 틀린다.


그래프를 그려서 생각해보라고!


그래프에서 이면 이므로 은 당연하다!(단, )





추가

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

과, 을 증명하시오.






왜냐고?